2018년 초미세먼지 국내발생 국외유입 분석

분석법 참고 ☞ < 초미세먼지 국내발생 국외유입 구분법 > 파란선은 초미세먼지 수치, 빨간선은 질소산화물 수치의 단순 오버랩으로, 1. 측정 지역에서 발생한 양과, 원거리에서 유입된 양이 구분된다. 2. 바람의 방향을 대입하여, 원거리 유입분중 국외(북,서풍) 국내(남풍)를 구분한다. 순 국내 발생량 = 지역발생량 + 원거리 유입분중 국내(남풍) 바람의 방향은 https://earth.nullschool.net 에서 참고 2018년 서울 용산구 지역 분석 연평균 초미세먼지 수치 22.2㎍/㎥ ( 순 국내발생분은 16.7㎍/㎥ ) 1년 총량을 기준으로 초미세먼지 75%가 순 국내 발생, 국외(북,서풍) 유입은 25% 여기에 외부유입이 없는 오존량까지 더하면, 80% 이상 국내서 발생 2018년 1월 초미세먼지 [ 국내발생 55%, 국외유입 45% ] 1월 초미세먼지 수치 31.4㎍/㎥ ( 순 국내발생분은 17.2㎍/㎥ ) < 2018.01. 용산구 초미세먼지 > 2018년 2월 초미세먼지 [ 국내발생 60%, 국외유입 40% ] 2월 초미세먼지 수치 28.3㎍/㎥ ( 순 국내발생분은 17.1㎍/㎥ ) < 2018.2. 중구 초미세먼지 (용산구 자료없어 대체) > 2018년 3월 초미세먼지 [ 국내발생 56%, 국외유입 44% ] 3월 초미세먼지 수치 29.9㎍/㎥ ( 순 국내발생분은 16.8㎍/㎥ ) 빨간선이 생략된 부분은 남풍이 계속 불어 국내발생 100%인 상태. < 2018. 03. 중구 초미세먼지 (용산구 자료없어 대체) > 2018년 4월 초미세먼지 [ 국내발생 79%, 국외유입 21% ] 4월 초미세먼지 수치 26.8㎍/㎥ ( 순 국내발생분은 21.1㎍/㎥ ) 빨간선이 생략된 부분은 남풍이 계속 불어 국내발생 100%인 상태. 오존 발생. < 2...